728x90
장례식장 절하는 방법(기독교), 조문 방법, 예절
장례식은 고인의 삶을 기리는 중요한 의식입니다. 장례식장에서는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다양한 문화와 절차가 있어서 올바르게 알고 가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장례식장에 처음이신 분들을 위해 조문하는 순서, 절하는 방법 그리고 방문 시 복장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독교인의 경우에서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장례식장 조문 방법 순서
장례식장 조문 방법 순서를 아주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장례식장에 도착합니다. 제일 먼저 부의함이 보입니다. 부의함 위에 놓인 방명록에 이름을 쓰고 부의함에 부의금 봉투를 냅니다.
- 유족과 간단한 인사를 나누고 조문소에 들어가기 전 신발을 벗습니다. 그리고 영정 사진 앞에서 향을 피웁니다. 향을 피울 때는 가볍게 손으로 흔들어 불을 끄며 입으로 불어서는 안 됩니다. (직장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방문했을 때에는 한 사람이 대표로 향을 피우면 됩니다.)
- 향을 피웠으면 헌화를 합니다. 국화꽃을 각자 영정 사진 앞에 둡니다.
- 헌화까지 했으면 이제 고인에 절을 합니다. 절은 두 번 하고 고인에게 고개 숙여 인사합니다. (절하는 방법은 여자와 남자 구별하여 밑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고인에게 절을 할 때에 기독교인의 경우 묵념으로 대신합니다.
- 고인에게 절을 했으면 마지막으로 상주에게 맞절을 합니다. 가끔 맞절을 모르고 2번 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주와의 맞절은 꼭 한 번만 해야 합니다. 절을 하고 상주에게 위로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말을 전합니다.
장례식장 절하는 방법
장례식장에서 절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절을 할 때는 두 손을 모으는 공수자세가 기본이 됩니다.
큰절(남자 여자 둘 다 가능한 큰절)
- 공수자세: 여자의 공수자세는 '왼손'을 위로 둡니다. 반대로 남성의 경우 오른손을 위로 둡니다.
- 공수자세를 취했으면 그다음 손을 눈높이로 올려주고 손바닥을 바닥을 그리고 시선은 발등을 향하게 합니다.
- 왼발을 뒤로 빼면서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으며 몸을 숙여 절을 합니다.
- 큰 절을 두 번 하고 마지막으로 가볍게 목례를 합니다.
평절(여자가 하는 절)
- 평절은 절을 할 때 공수했던 손을 풀어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을 꿇고 앉습니다.
- 양손을 무릎 양옆의 바닥을 짚습니다. 그리고 몸을 숙여 절을 합니다.
- 평절을 두 번하고 마지막으로 가벼운 목례를 합니다.
기독교인 절하는 방법
- 절을 하지 않고 묵념이나 기도를 합니다.
- 두 손을 모아 고개를 살짝 숙여 눈을 감고 15초 정도 묵념 혹은 기도를 하면 됩니다.
- 그리고 상주분들과도 맞절을 하는 대신 인사를 합니다.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에서 지켜야 할 예절은 먼저 복장은 간소하고 차분하게 입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검은색 계열로 어두운 색상의 옷이 적합합니다. 액세서리 화장을 화려하게 하는 것을 지양합니다. 다른 조문객들과 대화 시 큰 소리를 내지 않으며 조용하게 대화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장례식장 절하는 방법, 조문 방법 그리고 예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장례식장에는 지켜야 할 예절과 순서가 있으며 이를 올바르게 숙지하고 가야 합니다. 지인의 장례식장에서 올바른 예절을 지키며 고인의 마지막을 추모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생활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 EDI 4대 보험 보수월액 변경신고 작성 방법 (1) | 2024.10.31 |
---|---|
2024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이용방법 총정리(소득, 세액 공제신고서 작성) (0) | 2024.10.30 |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제출방법, 확인방법, 처리기간 총정리 (0) | 2024.10.28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조건, 등록방법, 필요서류 (0) | 2024.10.25 |
스톡옵션이란? 개념, 장단점 (1) | 2024.10.22 |